홈
中文
ENGLISH
MOBILE
뉴스
센터현황
센터소개
인사말
설립배경
관리체제
역대임원
연혁
찾아오시는 길
공동연구사업
공동연구현황
연구성과
논문
워크숍
사업 홈페이지
뉴스센터
알림
한중해양뉴스
센터뉴스
전문가 칼럼
해양기관 소개
자료실
연보
INFO Express모음집
전자사전
뉴스센터
한중해양뉴스
센터뉴스
알림
전문가 칼럼
뉴스센터
홈
>
뉴스센터
극지연구소 20년 성과와 향후 계획
김성중 극지연구소 seongjkim@kopri.re.kr 1. 극지연구소 설립 배경 대한민국의 극지연구는 1988년 2월 남극 반도의 킹조지섬에 세종기지가 준공되면서 부터 본격적으로 시작되었다. 기지를 건립한 이듬해에는 남극조약협의당사국 지위를 얻으며 국제적인 위상을 조금씩 높여 갈 수 있었다. 남극에 기지 건설을 위해 현지 조사단이 파견되...
>> Click
게시일: 2024-10-26
출 처: 한중센터
전지구 기후변화와 인간활동의 영향에 따른 해안 침식 발전추세
가오웨이高偉 선임연구원 중국 자연자원부 제1해양연구소 gaoweigeo@fio.org.cn 연안역은 수권, 암석권, 생물권, 대기권이 상호작용하는 교차지대이자 육지, 해양, 대기 간 물질ž에너지 교환이 가장 활발한 공간지대로 지구시스템의 물질 순환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으며, 줄곧 전지구 기후변화 연구분야의 주요 이슈 중 하나로 ...
>> Click
게시일: 2024-06-21
출 처: 한중센터
미세플라스틱 해양 이동 연구 총론
리옌李燕 국가해양환경예보센터 liy@nmefc.cn 미세플라스틱 오염은 현재 뜨거운 이슈가 되었으며, 이 글에서는 미세플라스틱의 근해-대양 이동 메커니즘에 대한 연구를 요약하고 일부 문제점에 대해 논의하고자 한다. 우선, 미세플라스틱의 생성에 대해 알아보기로 한다. 플라스틱은 환경에 노출된 후, 기계, 풍화, 생물학적 등의 작용으로 점차 ...
>> Click
게시일: 2024-03-29
출 처: 한중센터
제2차 해양수산 과학기술 육성 기본계획(2023~2027)
이성미정책개발실장 해양수산과학기술진흥원 smlee@kimst.re.kr 1. 계획수립 배경 해양수산과학기술 육성 기본계획은 해양수산과학기술 육성법 제5조에 따라 「제1차 해양수산과학기술 육성 기본계획`18~`22」 이후 5년간 한국 해양수산과학기술의 투자 및 정책 추진에 대한 비전과 목표, 중점추진과제 등을...
>> Click
게시일: 2023-09-21
출 처: 한중센터
해안 습지 카본싱크 증대를 위한 주요 수단
예쓰위안葉思源 중국지질조사국 칭다오해양지질연구소 siyuanye@hotmail.com 1. 배경 글로벌 기후변화는 오늘날 인류사회의 지속가능발전을 저해하는 가장 엄중한 도전 중 하나이며, 인위적인 활동에서 방출되는 이산화탄소CO2는 글로벌 온난화 및 기후변화를 초래하는 중요한 요인이다. 이에 따라, CO2 배출 저감 및 카본싱크carbo...
>> Click
게시일: 2023-06-30
출 처: 한중센터
해수배터리 시스템 개발 현황
백승재 한국해양과학기술원 해양ICT∙모빌리티연구부 baeksj@kiost.ac.kr 누구나 어릴 적 한번쯤은 읽어 보았을 ‘해저2만리’는 아라낙스 교수와 네드가 네모 선장의 잠수함 노틸러스호를 타고 전 세계 바다를 누비는 내용의 소설이다. 100년도 더 된 그 옛날, 잠수함을 소재로 글을 쓴 작가 쥘 베른의 상상력만큼이나 놀라운 ...
>> Click
게시일: 2023-06-16
출 처: 한중센터
다 함께, 기후위기에 대응하는 5가지 약속
강도형 박사 한국해양과학기술원 제주연구소 dohkang@kiost.ac.kr 국제적인 관광지로 손꼽히는 제주도는 어떤 색과 어울릴까? 시간에 한 번씩, 바람 한 번 불면 바뀌는 바다색은 방문하시는 사람들의 마음만큼이나 다양하다. 모래사장을 살포시 감싸는 제주연안의 그 색은 형언하지 못할 기쁨과 아름다움을 준다. 그래서 그럴까? 필자가 원고 첫...
>> Click
게시일: 2022-11-24
출 처: 한중센터
한국의 수중건설로봇 개발 현황
장인성 한국해양과학기술원 해양로봇실증센터 isjang@kiost.ac.kr 항만을 비롯한 해양구조물 건설에 있어 다양한 수중작업이 이루어진다. 과거에는 수심이 얕은 쪽에서 공사가 진행되다보니 잠수사에 의존하다가 해양플랜트나 해상풍력 등 해양구조물의 수요가 점차적으로 증대되고 수심이 깊어지면서 수중건설로봇이 필요성이 크게 대두되었다. ...
>> Click
게시일: 2022-10-08
출 처: 한중센터
한국의 해양수산과 국민경제
장정인 한국해양수산개발원 경제전망∙데이터연구실 jeongin@kmi.re.kr 세계는 저성장시대에 대응하기 위해 해양기반의 경제성장에 관심을 가지기 시작했다. OECD2016는 세계 해양경제활동 규모를 2010에 약 1.5조 달러로 추산하였고 2030년에는 약 2배로 성장할 것으로 전망했다. 해양수산업은 “해양공간에서 해양...
>> Click
게시일: 2022-08-29
출 처: 한중센터
황ㆍ동중국해 금조(金潮) 발생 과정에 대한 연구
장쉐레이장학뢰, 張學雷, 위안차오원초, 袁超 중국 자연자원부 제1해양연구소FIO zhangxl@fio.org.cn 최근, 중국 자연자원부 제1해양연구소FIO 소속 해양 생물 다양성 연구진은 에 ‘Two drifting paths of Sargassum bloom in the Yellow and East China Sea during 2019-...
>> Click
게시일: 2021-12-22
출 처: 한중센터
무인시스템을 이용한 양쯔강 저염수 상시 관측 필요
모태준 오션테크㈜ system@oceantech.co.kr 동중국해는 한반도 주변 해역과 접해 있는 서태평양의 연해로서 동아시아 지역에서의 자연환경뿐만 아니라 주변국의 경제활동과도 매우 밀접한 관련성을 지니고 있다. 최근에 전 지구적으로 심각하게 대두되고 있는 지구 온난화와 관련된 해양환경의 변화, 특히 양쯔강으로부터 방류되는 방대한 양의 저...
>> Click
게시일: 2021-12-08
출 처: 한중센터
플라스틱 위기, 지금 당장 모든 수단 강구해야
홍선욱 대표 사동아시아바다공동체 오션 sunnyhong@osean.net 해양 플라스틱 쓰레기, 악화 전망 미국의 제나 잼백Jenna Jambeck 교수를 비롯한 여러 나라의 학자들이 2015년 사이언스지에 발표한 논문은 현재와 같이 가다가는 2010년 기준 480만 톤~1270만 톤의 플라스틱 쓰레기가 바다로 들어가고 2025년에는 10배...
>> Click
게시일: 2021-11-19
출 처: 한중센터
되돌아 올 수 없는 길을 가고 있는가? - 2020년도 전지구적 이상현상들을 겪으면서-
이재학 한국해양과학기술원 jhlee@kiost.ac.kr 자연 현상은 주어진 법칙만 따를 뿐 인간에게 어떠한 배려도 없이 나타난다. 이를 확인하는 데는 최근 한 달 이내의 뉴스만으로 충분하다. 한반도 주변은 기록적인 긴 장마와 연이어 지나간 태풍들로 올 여름을 채웠다. 미국 서부의 산불은 아마겟돈을 연상케 하는 빨간 하늘의 사진 한 장으로 심각함...
>> Click
게시일: 2020-11-13
출 처: 한중센터
기후변화와 인간 활동의 복합 작용에 의한 대륙-해양 간 상호 작용 구역에서의 해수 침입-토양염류화 연쇄적 재해 연구와 전망
위홍쥔(于洪軍) 푸텅페이(付騰飛) 중국 자연자원부 제1해양연구소 이메일: hjyu@fio.org.cn futengfei@fio.org.cn 대륙-해양 상호 작용 구역이란, 대륙과 해양이라는 상이한 생태계 물질과 에너지가 융합, 축적, 운송되는 구역이자, 다양한 생물이 존재하고 지구 화학 활동이 활발하여 전지구 탄소 순환과 영양염 순환이 활발히 ...
>> Click
게시일: 2020-10-26
출 처: 한중센터
데이터에 기반한 지구 시스템 과학과 머신러닝의 심화 융합 전망
송진아 박사 중국자연자원부제1해양연구소 현재 지구 시스템 데어터량이 100PB를 초과하였고 매년 5PB 이상 증가 하고 있다. 동시에각종 모니터링과 모의 방법의 발전에 의한 데이터 종류와 품질도 개선되고 있다. 빅데이터의 전형적인 특징4 V, 즉 데이터량 많음(Volume), 확보 속도 빠름(Velocity), 종류 다양함(Variety), 진실성(...
>> Click
게시일: 2020-01-15
출 처: 한중센터
첫페이지 이전페이지 | 총 19 편 문장 , 1/2 |
다음페이지
마지막페이지
1
2
페이지열기
Copyright © CKJORC. All Rrights Reserved.
주소: 중국 청도시 선하령로 6호 Tel: +86-532-8896-4987 Fax: +86-532-8896-4779 E-mail: newsletter@ckjorc.or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