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내용

“2017년도 중국 해양경제 발전지수” 발표

게시일: 2017-12-21     출 처: 중국해양보

 
  2017년 12월 14일, 중국 광둥(廣東)성 잔지앙(湛江)에서 열린 중국 해양경제 발전 포럼에서 “2017년도 중국 해양경제 발전지수”가 발표되었다. 국가해양정보센터에서 수립한 이 지수에 따르면, 2010년 ~ 2016년 사이 중국의 해양경제 발전지수의 증가 속도는 연간 3.7%에 달해 약간 주춤하는 모습을 보였다고 한다.
 
  2010년 ~ 2016년, 해양경제의 발전수준 지수는 연간 3.2%의 속도로 증가하였고, 2016년 해양경제 발전수준 지수는 120.8에 달해 전년도보다 2.1 증가하였다. 2010년 ~ 2016년, 해양 총생산의 연간 증가 속도는 7.9%에 달하였고, 2016년, 해양 총생산은 70,507억 위안에 달해 전년도보다 6.8% 증가하였다. 이는 같은 기간의 국민경제 증가속도보다 0.1 포인트 높은 수치였고, 국내 총생산의 9.5%를 차지 하였으며, 국민경제 성장에 대한 기여도는 9.9%에 달하였다. 해양 3차산업의 비중은 대폭 증가하여 2016년에 54.5%에 달하였다. 해양신흥산업은 빠른 성장세를 보였는데, 2016년에 10.9%의 증가폭을 보였으며, 같은 기간 해양경제의 성장속도의 증가폭보다 4.1% 높았다. 중국과 21세기 해상실크로드 주변국가와의 대외교역액 또한 약 8,900억 달러에 달하였다.
 
  해양경제 발전성과 지수는 연간 3.1%의 속도로 증가하였고, 2016년에 이르러 전년도보다 1.6 증가한 120.3을 기록하였다. 수산품 가격의 변동율 감소와 더불어 수출 컨테이너 수송 가격의 변동 또한 안정적인 양상을 보였으며, 해양경제 발전에 의한 일자리 창출 역시 지속적인 증가세를 보였다. 수산품 공급량의 지속적인 증가와 함께 1인당 수산품 소비량 또한 안정적으로 증가하는 양상을 보였다. 1인당 해양공원 면적도 지속적으로 늘어나, 2016년에 3.8 헥타르/만 명에 달하였다.
 
  해양경제 발전 잠재력 지수는 연간 5.0%의 속도로 증가하며, 2016년에 이르러 133.7에 달해 전년도보다 3.2 증가하였다. 이는 해양경제의 발전 잠재력이 한층 강화되었음을 의미한다. 해양 과학기술 인력과 성과도 계속해서 늘어나, 2016년 182개의 중점 모니터링대상 해양연구기관의 특허(특허권을 확보한 특허) 수가 전년도보다 5.9% 증가하였다. 해양환경은 안정적인 상황을 유지하고 있고, 해양보호구 면적 또한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며, 2016년 말까지 해양보호구역 면적은 12.2만 km²에 달하였다.
 
Copyright © CKJORC. All Rrights Reserved.
주소: 중국 청도시 선하령로 6호    Tel: +86-532-8896-4987    Fax: +86-532-8896-4779    E-mail: newsletter@ckjorc.or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