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시 및 장소 | 2024.11.05.(화)-07.(목) / 한국 제주 | ||
참석자(기관) | ○ 한국해양과학기술원(KIOST), 부산대학교, 서울시립대학교, UST 21, 중국 자연자원부 제1해양연구소(FIO), 국가위성해양응용센터(NSOAS), 국가위성기상센터(NSMC), 중국과학원 연태연안역연구소(YIC), 생태환경부 화남환경과학연구소(SCIES), 청도황해학원, 중산대학교, 난징대학교, 치루공업대학교, 한중센터 등 14개 기관 30여 명 | ||
주요내용 | □ 공동워크숍 ◯ 한국 및 중국의 연구 성과와 최신 기술 동향을 공유, 해양환경 데이터 활용 공동 연구 및 협력 방안 모색 - 차세대 해양 위성, 기후 변화와 블루카본, 해양 재난 모니터링, 해양환경 모니터링을 주제로 총 16개 발표 및 토론 진행 ◯ 발표목록 □ 성과보고회 ◯ 연구수행 상황 점검 - 기술회의, 논문게재, 공동워크숍 개최 등 실적달성 현황 점검 - 양국 연구진 공동 참여한 다중 위성 기반 녹조 대발생 트렌드에 대한 논문 게재 완료 - (한국 측) 연안 해양환경 변화, 적조, 지형변화 등 연구에 집중, 장기 시계열 분석을 위한 위성 DB 구축 및 시뮬레이션 모델 개발, GOCI 위성을 활용한 연구에 대한 전반적인 내용을 정리하기 위해 800여 편의 논문 분석 및 review 논문으로 게재 - (중국 측) 다중 플랫폼/센서를 활용한 부유조류 면적, 생물량 추정 및 탐지, 이동 속도, 대발생 종 규명 연구 수행, Chl-a, 적조, 표층수온(SST) 등에 대한 원격탐사 기술 고도화 연구에 집중 및 저명 저널에 다수 논문 게재 ◯ 향후 협력 추진 방안 등 논의 - GOCI, GOCI-II를 이용한 장기적 해양환경 및 재해를 해석한 공동논문 집필 제안 - 부유조류 대발생 및 적조 관련 양국의 협력을 통해 더 다양한 연구를 진행키로 합의 □ KIOST 제주연구소 방문 및 업무협의 ◯ 기관 개황 및 주요 역할, 기능 등에 대한 소개 청취 ◯ 중국 내 연구기관 및 대학 등과의 교류협력 추진 방안 등 논의 ◯ 미세조류 실험동 등 참관 | ||
Session 1 | Next-generation Ocean Satellites (Chair: Jong-Kuk CHOI) | ||
Authors | Title | ||
S1-1 | Jae-Hyun AHN | Toward GOCI-III Improvement Based on the Lessons of GOCI and GOCI-II | |
S1-2 | Xiaomin YE | Observation Characteristics with Multi-resolution by Multiple Payloads on the China's New Generation Ocean Color Observation Satellite | |
S1-3 | Tae-Ho KIM | Concept of Multi-Mission CubeSat Constellations Satellite for Ocean Application | |
S1-4 | Ling SUN | Introduction of Fengyun-3 Satellite Data and Recent Progress of FY-3F | |
Session 2 | Climate Change and Blue Carbon (Chair: Eunna JANG) | ||
Authors | Title | ||
S2-1 | Myung-Sook PARK | For the Use Satellite Ocean Color Data for Climate Studies | |
S2-2 | Zhangcai QIN | Carbon Implications from Coastal “Blue Carbon” Ecosystem Under Anthropogenic and Climate Changes | |
S2-3 | Jong-Kuk CHOI | Monitoring Ocean Carbon Cycle from Ocean Color Satellite Data | |
Session 3 | Ocean Disaster Monitoring (Chair: Zhangcai QIN) | ||
Authors | Title | ||
S3-1 | Ngoc An BUI | Oil Spill Detection and Classification with Tailored Data Augmentation Method and Potential Segmentation | |
S3-2 | Yingcheng LU | Mapping of Oil Spills in China Seas Using Optical Satellite Data and Deep Learning | |
S3-3 | Young-Heon JO | Tracking Floating Marine Creatures and Objects in the East China Sea | |
S3-4 | Qianguo XING | Remote Sensing Green Macroalgae Blooms in the Yellow Sea | |
Session 4 | Ocean Environmental Monitoring (Ling SUN) | ||
Authors | Title | ||
S4-1 | Jee-Eun MIN | Validation of GOCI-II Remote Sensing Reflectance and Ocean Color Products | |
S4-2 | Eunna JANG | Sea Surface Salinity Monitoring Using Satellite Observations | |
S4-3 | Wenjing ZHAO | Estimation and Evaluation of Aquaculture Mass Load Based on Inventory and Improved Entropy Weight: The Case of Zhuhai City, China | |
S4-4 | Ji-Yeon BAEK | Critical Environmental Conditions to Determine Four Spring Phytoplankton Bloom Stages in the Central Yellow Sea | |
S4-5 | Xin Zhao | Atmospheric correction algorithm based on deep learning with spatial-spectral feature constraints for broadband optical satellites: Examples from the HY-1C Coastal Zone Imager | |
비고 | 공동워크숍 | ||
성과보고회 | |||
KIOST 제주연구소 방문 |